
목차
국내 시스템 반도체 설계 생태계를 이끄는 세미파이브가 코스닥 상장을 추진합니다. 세미파이브는 반도체 설계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반도체 설계자산(IP) 및 SoC(시스템온칩) 설계 전문기업으로, 글로벌 팹리스 산업 내에서 빠르게 성장 중인 차세대 반도체 설계 플랫폼 기업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미파이브 공모주 청약 일정, 핵심 기술력, 그리고 향후 성장 가능성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세미파이브 공모주 청약 정보
기업 개요
세미파이브는 기타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에 속하는 시스템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으로,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반도체를 직접 제조하지 않고 설계 단계에서부터 IP, 검증, 양산 지원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반도체 설계 인프라 플랫폼 기업입니다. 이 회사의 설립 목적은 중소 팹리스 기업들이 고가의 설계 환경 및 전문 인력 없이도 반도체를 효율적으로 설계·양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 본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양현로 322, 코리아디자인센터 6층
☑️ 대표이사: 조명현
☑️ 업종: 기타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 시장구분: 코스닥
☑️ 종목코드: 490470
세미파이브 공모 정보
세미파이브는 총 5,400,000주를 신주모집 100% 방식으로 공모하며, 액면가는 1,000원, 희망 공모가는 21,000원~24,000원, 총 공모금액은 약 1,134억 원 규모입니다.
☑️ 총 공모주식수: 5,400,000주
☑️ 액면가: 1,000원
☑️ 공모가 희망 범위: 21,000원 ~ 24,000원
☑️ 총 공모금액: 약 113,400백만 원
☑️ 공모방식: 신주모집 100%
☑️ 주간사: 삼성증권
☑️ 배정 비율: 기관 70~75%, 일반청약자 25~30%
☑️ 청약증거금율: 일반청약자 50%
☑️ 청약 한도: 60,000~75,000주
세미파이브 공모주 청약 일정
☑️ 수요예측 기간: 2025년 11월 26일 ~ 2025년 12월 2일
☑️ 공모청약 기간: 2025년 12월 5일 ~ 2025년 12월 8일
☑️ 배정공고일: 2025년 12월 10일 (삼성증권 홈페이지 참조)
☑️ 납입 및 환불일: 2025년 12월 10일
☑️ 상장일: 추후 공지 예정
※ 일정은 주간사 사정 및 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세미파이브 공모주 청약 방법
☑️ 주간사: 삼성증권
☑️ 청약 계좌: 삼성증권 계좌 필요 (비대면 개설 가능)
☑️ 청약증거금율: 50%
☑️ 청약 한도: 60,000~75,000주
☑️ 청약 기간: 2025년 12월 5일 ~ 12월 8일
청약은 삼성증권 MTS·HTS 또는 오프라인 지점을 통해 진행할 수 있으며, 배정 결과는 12월 10일 주간사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재무 현황
세미파이브는 아직 성장 단계의 반도체 설계 플랫폼 기업으로, R&D 중심의 비용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당기 순손실을 기록 중입니다. 2024년 기준 매출액은 약 1,118억 원, 영업손실 290억 원, 순손실 291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매출은 전년 대비 89.6% 성장하며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글로벌 고객사 확보와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2025년 이후 손익 개선이 기대됩니다. 부채비율은 42.8%로 안정적이며, 유동비율은 144%로 재무 건전성도 양호한 수준입니다.
사업 및 기술 경쟁력
세미파이브의 핵심 경쟁력은 플랫폼 기반 반도체 설계 생태계 구축입니다. 기존 팹리스 기업이 직접 설계 인력과 도구를 구축해야 했던 구조를, 세미파이브의 플랫폼을 통해 간소화함으로써 개발비용과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했습니다.
주요 경쟁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 RISC-V 기반 SoC 설계 플랫폼
☑️ 삼성 파운드리 협업체계
☑️ 글로벌 고객 네트워크
☑️ 플랫폼화된 비즈니스 모델
또한, 기존 ASIC 설계 서비스 대비 빠른 개발 속도와 낮은 비용을 무기로 전력 반도체, AI칩, 자율주행 반도체 등 신규 분야에서도 수요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본질가치 및 투자 포인트
세미파이브는 기존의 팹리스-파운드리 수직 구조를 플랫폼 중심으로 재편하고 있는 반도체 설계 혁신 기업입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반도체의 AWS(클라우드형 설계 플랫폼)로 불릴 정도로 산업 구조 자체를 바꾸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 반도체 설계 비용 절감 및 개발 효율 극대화
☑️ 삼성전자 파운드리, SiFive 등 글로벌 파트너십
☑️ AI·자동차·IoT 등 신규 시장 확장성
☑️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고정매출 구조
이러한 요소는 향후 반도체 생태계 내 플랫폼 기업으로서의 프리미엄 가치를 형성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로 꼽힙니다.
세미파이브 공모주 청약 전망
세미파이브는 아직 실적 면에서는 적자 상태이지만, 기술력과 시장 포지션 면에서는 매우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기업입니다. 특히 반도체 IP 플랫폼 시장이 본격 확대될 경우, 세미파이브는 그 중심에 설 가능성이 큽니다.
공모가 밴드는 다소 높은 수준이지만,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와 기술특례 상장 요건을 충족한 기업으로서 기술 프리미엄이 반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 반도체 산업 내 구조적 변화에 베팅하려는 투자자에게는 눈여겨볼 만한 공모주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세미파이브는 어떤 회사인가요?
A. 반도체 설계 플랫폼을 제공하는 엔지니어링 서비스 기업으로, 중소 팹리스 기업의 칩 개발을 지원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합니다.
Q2. 세미파이브 공모주 청약 일정은 어떻게 되나요?
A. 수요예측은 11월 26일~12월 2일, 청약은 12월 5일~8일에 진행됩니다.
Q3. 주간사는 어디인가요?
A. 삼성증권이 단독 주간사로 참여합니다.
Q4. 어떤 투자자에게 적합한가요?
A. 반도체·AI·자율주행 등 고성장 기술 산업에 장기 투자 관심이 있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