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혁신 항암 치료제 개발 기업 ㈜에임드바이오(AimedBio)가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습니다. 삼성서울병원에서 분사(Spin-off)된 연구진이 설립한 회사로, 차세대 항체-약물 접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 기반 항암제 개발에 집중하며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텍 기업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에임드바이오 공모주 청약 일정, 기업 개요, 핵심 기술력, 투자 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에임드바이오 공모주 청약 정보
기업 개요
에임드바이오는 항체와 세포독성 약물을 결합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항체-약물 접합체(ADC) 기술을 중심으로 혁신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이 중심이 되어 설립된 기업으로, 임상·전임상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신약 개발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본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정의로 67, MK타워 11층
☑️ 대표이사: 허남구
☑️ 업종: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
☑️ 시장구분: 코스닥
☑️ 종목코드: 0009K0
에임드바이오 공모 정보
에임드바이오는 이번 상장을 통해 총 6,430,000주를 전량 신주모집(100%) 형태로 공모합니다. 희망 공모가는 9,000원~11,000원, 총 공모금액은 약 579억 원 규모입니다. 대표 주간사는 미래에셋증권이며, 기관투자자 70~75%, 일반청약자 25~30%로 배정됩니다.
☑️ 총 공모주식수: 6,430,000주
☑️ 액면가: 500원
☑️ 공모방식: 신주모집 100%
☑️ 희망 공모가: 9,000원 ~ 11,000원
☑️ 예상 공모금액: 약 57,870백만 원
☑️ 주간사: 미래에셋증권
☑️ 청약한도: 80,000~95,000주
☑️ 청약증거금율: 일반 50%, 우리사주 100%
에임드바이오 공모주 청약 일정
☑️ 수요예측: 2025년 11월 12일 ~ 11월 18일
☑️ 청약일: 2025년 11월 21일 ~ 11월 24일
☑️ 배정공고: 2025년 11월 26일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
☑️ 납입 및 환불일: 2025년 11월 26일
☑️ 상장일: 추후 공시 예정
📌 일반 투자자는 미래에셋증권 MTS·HTS 또는 지점 방문을 통해 청약 가능
재무 현황
에임드바이오는 기술기반 바이오 기업으로, 연구개발 중심의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매출액은 117억 원, 영업손실은 33억 원, 순손실은 33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비록 적자를 유지하고 있지만, 기술이전 계약을 통한 매출이 본격적으로 발생하면서
재무 구조 개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 부채비율: 1,315.66%
- 유동비율: 83.05%
- 자기자본이익률(ROE): -101.05%
- 영업이익률: -3.02%
- 매출 증가율: 6,941.92%
2024년 기준 매출 급증은 글로벌 제약사 Biohaven(바이오헤이븐)과의 기술이전 계약 및 SK플라즈마와의 공동개발 계약(AMB303)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핵심 사업 및 기술 경쟁력
에임드바이오의 주력 기술은 항체-약물 접합체(ADC)입니다. ADC는 암세포 표적 단백질에 항체를 결합하고, 약물(페이로드)을 암세포 내부로 선택적으로 전달해 부작용은 줄이고 치료 효과를 높이는 기술입니다.
주요 경쟁력
1️⃣ 환자유래모델 기반 항체 발굴 시스템
- 실제 환자 암세포(PDC, PDX)를 이용해 항체를 선별,
표적 단백질 발현 데이터를 반영한 ‘맞춤형 항체 발굴 플랫폼’을 구축했습니다.
2️⃣ 자체 링커-페이로드 기술 보유
- 항체와 약물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링커(Linker)와
독성물질(페이로드) 설계 역량을 자체적으로 확보했습니다.
3️⃣ 임상 전 효율적 후보 검증 프로세스
- 초기 단계부터 환자유래 이종이식 모델을 활용해
효능·안전성을 사전에 검증하고, 임상 성공 가능성이 높은 후보만 선별합니다.
4️⃣ 글로벌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계약 성과
- 2024년: 미국 바이오헤이븐에 AMB302 기술이전
- 2025년: SK플라즈마와 AMB303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 체결
이러한 기술 협력은 에임드바이오의 연구 신뢰성과
ADC 플랫폼의 상업적 잠재력을 입증하는 지표로 평가됩니다.
본질가치 분석
- EPS(주당순이익): -58원
- BPS(주당순자산가치): 58원
- PER(공모가 대비): -188.87배
- PBR: 190.86배
현재는 연구개발 중심의 적자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기술이전 수익 모델이 정착되고 신규 파이프라인이 본격화되면 가치 상승 여력이 크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투자 포인트
☑️ 삼성서울병원 기반의 임상 및 연구 네트워크 보유
☑️ 글로벌 제약사 대상 ADC 기술이전 실적 확보
☑️ 환자유래모델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으로 차별화된 경쟁력
☑️ 향후 글로벌 임상 진출 및 추가 기술이전 기대감
ADC 시장은 글로벌 제약사들의 투자 경쟁이 치열한 분야로, 2030년에는 3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에임드바이오는 해당 시장 내에서 국내 선도 ADC 플랫폼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에임드바이오 공모주 청약 전망
이상으로 에임드바이오 공모주 청약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에임드바이오는 고위험·고성장형 바이오주로 평가됩니다. 아직 영업이익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기술이전 성과와 글로벌 협력 확대가 이어지고 있어 장기 성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기 변동성은 클 수 있으나, ADC 기술 상업화 및 파이프라인 진척 속도가 향후 주가 방향을 좌우할 가능성이 큽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에임드바이오는 어떤 회사인가요?
A. 항체-약물 접합체(ADC) 기반 항암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신약개발 기업입니다.
Q2. 공모 일정은 어떻게 되나요?
A. 수요예측은 11월 12~18일, 청약은 11월 21~24일에 진행됩니다.
Q3. 에임드바이오 공모주 청약은 어디서 가능한가요?
A. 미래에셋증권을 통해 HTS·MTS 또는 지점 방문으로 가능합니다.
Q4. 투자 리스크는 무엇인가요?
A. 임상 성공 여부에 따라 기업 가치 변동이 크며, 기술 상업화 시점이 지연될 경우 단기 실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